반응형

MVC 패턴이란?

개발자가 웹 페이지를 만드는 걸 생각해보자. 서로 다른 이름을 가진 사용자 수가 3명일 때, 웹 페이지는 총 3개일...수도 있다. 하지만 만약 9999명이 된다면? 사실 100명만 되도, 개발자는 복사 붙이기(일명 복붙)을 100번 해야 하는 셈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MVC 패턴이라는 것을 만들었고, 홈페이지를 보여주는 뷰(View)와, 사용자의 요청을 서버에서 처리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데이터를 관리하는 모델(Model) 방식을 만들기 시작했다.

 

 

1. 뷰 템플릿 생성하기

이제, MVC 패턴을 인텔리제이 환경에서 실행해 보자. 우선, 머스태치를 활용하여 뷰 템플릿을 만든다. 여기서 머스테치란, 다양한 언어를 화면에 제공하는 템플릿 엔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src -> resources -> templates -> 우클릭 new -> file 클릭 -> first.mustache 생성

 

여기서 확장자에 .mustache를 적었음에도 수염과 같은 아이콘 모양이 나오지 않아도 걱정하지 말자.

인텔리제이의 왼쪽 상단에 file -> settings -> plugin -> mustache를 클릭하여 설치해주면 된다.

 

 

자, 빈 화면이 나오지 않았는가?

여기서 doc를 누르고 tab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html 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ody>
</html>

 

head의 <title>태그는 웹 페이지의 제목을 나타낸다. 참고로, 왼쪽에 보이는 네이버의 아이콘은 파비콘이라고 하며, 이것도 설정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하겠다! <title> 태그 사이에 내가 원하는 웹 페이지의 제목을 적어보자.

그리고, <body> 태그 안에 <h1> 태그를 달고, 원하는 말을 넣어보자. 필자는 이렇게 했다. 그리고 {{username}}은 변수를 받아오는 형식이다. 이를 통해, 앞서 말했던 '각 사용자 마다 페이지를 만드는 것'을 하지 않고, 원하는 변수만 바꾸어 하나의 페이지에 여러 형식을 보일 수 있다.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title>Spring boot 연습</title>
</head>
<body>
    <h1>Hell로 월드!!!!</h1>
    <h2>{{username1}}님, 스프링 부트 열심히 하셔야죠??</h2>
    <h2>{{username2}}님, 네카라쿠배 가야죠~~</h2>
</body>
</html>

 

 

2. 컨트롤러

뷰 페이지를 설정했으니, 그 화면을 볼 수 있도록 요청을 처리해주는 컨트롤러를 만들어보자.

com.example.practice 우클릭 -> package -> com.example.practice.controller 입력 -> FirstController.class 생성

 

package com.example.practic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이 객체가 컨트롤러임을 알게 해주는 어노테이션
public class FirstController {

    @GetMapping("/hi")  //URL 요청 접수
    public String helloWorld(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username1", "김철수");
        model.addAttribute("username2", "김영희");
        return "first"; //first 머스테치 반환
    }
}

 

여기서 @를 사용한 "어노테이션"을 볼 수 있다.

어노테이션이란, 소스 코드에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메타 데이터의 일종이다. 코드를 서버에서 어떻게 처리해주어야 하는지 명시해주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Controller는, 이 객체가 컨트롤러임을 명시한 어노테이션

@GetMapping("/hi")는, Client로 부터 URL을 요청 받았을 때, 아래 메소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조회 어노테이션이다.

 

helloWorld 메서드의 매개변수는 Model로, MVC 패턴의 M을 담당하는 모델이다. 만약 빨간 줄이 뜬다면 alt + enter를 사용하여 import 해주면 된다. 

 

코드를 다 작성하고, 서버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로그를 볼 수 있는데, Tomcat started on port 8081을 보면 8081 포트에서 서버가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8080 포트에서 서버가 동작할 것이다. 스프링 부트는 톰캣이라는 것에 담겨서 실행되므로 다음과 같은 로그가 뜬다. 

 

localhost:8081/hi 에 접속하여 내가 원하는 뷰 페이지가 나오는지 확인해보자. 

만약 한글이 깨져서 나온다면,  src -> main -> resources ->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넣어주자.

server.servlet.encoding.force=true

 

뷰 페이지 완성

 

원하는 페이지를 출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start.spring.io/

해당 링크에 들어가서 스프링부트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

 

Project : Gradle - Groovy

Language : Java

Spring Boot : 3.2.2

Project Metadata -> Artifact : Practice

Dependencies : H2, spring boot web, mustache

반응형
반응형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C%9E%85%EB%AC%B8-%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

 

[무료]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반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학습 첫 길잡이! 개발 공부의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드립니다. 📣 확인해주세

www.inflearn.com

해당 내용은 위 무료 강의 내용을 수행하며, 제가 겪은 오류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정리했습니다.


강의 내용 : 섹션1. 프로젝트 환경 설정 - 프로젝트 생성

 

해당 강의에서는 spring boot 2.x.x 버젼을 사용하고 있는데, 나는 3.x.x버젼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래서 java 17 이상의 버젼이 필요했다.

 

우선 강의에 설명해주신 대로 starter.spring.io 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Intellij에서 프로젝트를 열었더니 아래와 같은 문구가 나오며 오류가 발생했다.

 

JDK 17 isn't compatible with Gradle 8.1.1. Please fix JAVA_HOME environment variable.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은 수행 절차를 통해 해결했다.

1. 환경변수 설정

2. 프로젝트 JDK 설정

 

1. 환경변수 설정

JDK 17이 Gradle 8.1.1과 호환이 안된다는 것이니, 환경변수를 설정하라는 내용이었다. 일단? 내가 알기론 Gradle 8.1.1은 JDK 17과 호환이 되는데, 왜 저런 문구가 뜨지 싶어서 환경 변수 설정을 하려고 봤는데.. 알고보니 JDK 11로 설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17로 다시 바꿔줬다.

 

환경 변수 설정하는 법

- window키 + s

- '고급 시스템 설정 보기' 검색

- 환경 변수 클릭

 

 

 

2. 프로젝트 JDK 17 변경

File -> Project Structure

 

Project SDK에서 자바 17version으로 바꿨다.

 

또한, File -> Settings -> Gradle 검색

Build and run using과 Run tests using을 Gradle에서 Intellij IDEA로 변경했다.

기본 설정값은 Gradle인데, Gradle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Gradle을 수행하는데 있어 오류가 없게 하도록 하기 위해 디폴트 값을 Gradle로 해놨다고 한다. 근데 Gradle로 컴파일 하면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서, Intellij IDEA로 설정했다.

 

 

그리고 Gradle을 다시 빌드하니 오류가 나지 않았고, 해당 강의대로 (아무것도 없는)main 클래스를 실행했을 때 Tomcat이 8080포트로 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localhost:8080으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 페이지가 뜬다. 이로써 셋팅 완료!

 

 

 

반응형
반응형


문제 : gradle version이 달라서, compile, testCompile로 의존성을 설정하는 것이 안될 때.

 

결론 : 

compile은 implementation으로, testCompile은 testImplementation으로 변경하면 된다.

gradle 7.0 부터는 compile과 runtime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https://docs.gradle.org/current/userguide/java_library_plugin.html#sec:java_library_separation

 

The Java Library Plugin

The Java Library plugin expands the capabilities of the Java Plugin (java) by providing specific knowledge about Java libraries. In particular, a Java library exposes an API to consumers (i.e., other projects using the Java or the Java Library plugin). All

docs.gradle.org

The compile and runtime configurations have been removed with Gradle 7.0. Please refer to the upgrade guide how to migrate to implementation and api configurations`. - 출처 : gradle 공식 홈페이지 -

 

 

buildscript {
    ext {
        springBootVersion = '2.1.9.RELEASE'
    }
    repositories {
        mavenCentral()
        jcenter()
    }
    dependencies {
        classpath("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springBootVersion}")
    }
}

apply plugin: 'java'
apply plugin: 'eclipse'
apply plugin: 'org.springframework.boot'
apply plugin: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group 'com.jojoldu.book'
version '1.0.4-SNAPSHOT-'+new Date().format("yyyyMMddHHmmss")
sourceCompatibility = 1.8

repositories {
    mavenCentral()
    jcenter()
}

dependencies {
    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test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Compile("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test")
}

해당 책은 gradle 4.10.2 version을 사용하고 있어서, 의존성을 추가할 때 compile, testCompile을 사용했다. 하지만, 지금은 책이 출간한지 5년 정도가 지났기에.. 나는 gradle 7.1 version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래서 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했을 때 오류가 났다.

 

앞서 말한 것처럼, compile을 implementation으로, testCompile을 testImpementation으로 변경하니 빌드가 성공됐다.

 

buildscript {
    ext {
        springBootVersion = '2.1.9.RELEASE'
    }
    repositories {
        mavenCentral()
        jcenter()
    }
    dependencies {
        classpath("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springBootVersion}")
    }
}

apply plugin: 'java'
apply plugin: 'eclipse'
apply plugin: 'org.springframework.boot'
apply plugin: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group 'com.jojoldu.book'
version '1.0.4-SNAPSHOT-'+new Date().format("yyyyMMddHHmmss")
sourceCompatibility = 1.8

repositories {
    mavenCentral()
    jcenter()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test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test")
}

 

여기서 의문점... 이렇게 gradle 7.1 버젼에서 빌드 하긴 했는데, 나중에 다시 다운그레이드 했을 때는 implementation이 안먹힐 줄 알았는데 그대로 적용이 됐다... 왜지..??

 

 

 

compile, testCompile에 대한 정보 출처

https://velog.io/@g0709-19/Gradle-Could-not-find-method-compile-%ED%95%B4%EA%B2%B0-%EB%B0%A9%EB%B2%95

 

Gradle Could not find method compile() 해결 방법

gradle 7.0 부터 compile 명령은 삭제되었습니다.

velog.io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