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 관리사는 네트워크 현직자에게는 사실 그리 어려운 시험은 아니었습니다

다만, 제가 공부를 많이 안해서? 그리고 실수를 좀 많이 해서 그런지 점수가 낮게 나왔지만, 그래도 자격증은 절대평가라서 다행인 것 같습니다

 

필기 합격 후기는 여기로!

https://codingbuza.tistory.com/102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합격 후기

공부 방법1. CBT 모의고사 N회 돌리기2. 1번을 무한 반복한다 (아래 사진처럼)공부 기간직장인 기준으로, '하루에 적어도 모의고사 1회 풀기' 목표잡고 2주에 끝냈다.네트워크 장비 유지보수 업체로

codingbuza.tistory.com

 


1. 공부방법

- 교재는 따로 구매하지 않았습니다(필기 포함)

- 햅릿슈 유튜브 22강 3회 이상 듣기(22강 다 해도 배속하면 1시간 안넘어요)

네관2급이 어려운 내용이 아니라서, 유튜브 틀어놓고 멍때리다 보면 실전에서 잘 되더라구요

  

https://www.youtube.com/watch?v=cMN2wAvgOtI&list=PLrTFeWWAg1cg1NwfGmfWb6ZUNsL3ZkZEl

 

- 내가 참고했던 블로그들

 

https://blog.naver.com/jin2056/223703201420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독학 단기합격 후기(준비기간, 문제복기, 난이도)

안뇽하세요 다시 돌아온 자격증 컬렉터임니다. 올해 마지막 자격증으로 네트워크관리사 2급을 선택해봤는데...

blog.naver.com

https://ohaengsa.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EA%B4%80%EB%A6%AC%EC%82%AC-2%EA%B8%89-%EC%8B%A4%EA%B8%B0-%EA%B8%B0%EC%B6%9C-%EB%8B%A8%EB%8B%B5%ED%98%95-%EC%9C%A0%ED%98%95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 단답형 기출문제

📌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기출모음▶️ 네트워크관리사2급 실기 기출문제 모음📌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에서 단답형, 선택형은 총 6문제가 출제된다. 주

ohaengsa.tistory.com

https://m.blog.naver.com/tectp/223217934026

 

[자격증] 네트워크 관리사 2급 : 실기 윈도우 문제 총 정리

#2 네트워크 속성 예시 문제 1 제시 문제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시오. IP 192.168.100.56/29 I...

blog.naver.com

 

위 블로그들만 참고해도 무난히 합격할 수 있으니까 포기하지 마시길!!

시험 응시료가 8만원 가까이 하는 걸 보면.. 열정이 불타오를겁니다 ㅎㅎ

 

2. 시험 당일 난이도

- 햄릿슈님 유튜브 영상 보면, 중하 ~ 중 정도로 나왔다고 하네요.

- 제가 시험친 2025년 3회차에서 기억나는 문제는

단답형은 VLAN, tracert (윈도우는 tracert, 리눅스는 traceroute인데 리눅스인 줄 알고 traceroute 적은 분들 몇몇 있음)

그리고 IPv6, ICMP ECHO 관련된 객관식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라우터는 2문제는 쉬웠고 1문제는 ip route ~ 쓰는 건데 틀렸쑵니다

랜선은 당연히 맞춰야하는 문제구요!

 

ㅋㅍ ㅍㅌ너스 아닙니다!!

https://www.coupang.com/vp/products/2314526710?itemId=3994281185&vendorItemId=71978574316&sourceType=srp_product_ads&clickEventId=0f22b1a0-a05d-11f0-aed2-b67672e0daa0&korePlacement=15&koreSubPlacement=7&clickEventId=0f22b1a0-a05d-11f0-aed2-b67672e0daa0&korePlacement=15&koreSubPlacement=7&traceId=mgavsvav

 

랜장비 네트워크장비 랜공구 랜툴 랜커넥터 네트워크공사 RJ45랜툴 랜플러그 - 랜/광통신 장비 |

쿠팡에서 랜장비 네트워크장비 랜공구 랜툴 랜커넥터 네트워크공사 RJ45랜툴 랜플러그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랜/광통신 장비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www.coupang.com

 

저는 ㅋ팡에서 랜툴기, 탈피기, 가위를 사서 갔습니다

제가 시험쳤던 장소에는 랜툴기를 다들 챙겨오셨고(응시료 8만원인데 렌툴기가 안좋아서 떨어지면... 알죠..? 얼마나 짜증나는지!)

대부분 저와 같은 초록색 랜툴기를 가지고 오셨습니다.

결시율은 0%였습니다

 

TMI로, 저는 시작하자마자 탈피기 칼날이 부서지는 바람에, 가위로 모든 것을 해결했습니다

사실 네트워크 관리 업무를 많이 해서 저한테는 눈 감고도 푸는 문제(실제로 눈 감으면 못 품)였으나, 막상 시험장에 들어가니 긴장돼서 틀리진 않을까 걱정했었습니다 ㅎㅎ

 

랜선을 처음 따보시는 분은 유튜브를 보고 연습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3. 총평

- 랜선은 99% 다이렉트가 나오니깐 무조건 점수 챙겨가자!

- 상대적으로 쉬운 자격증이지만, 응시료가 비싸기 때문에 확실하게 취득하자!

- 쉽다고 얕보면 분명히 떨어진다

반응형
반응형

정보통신기사 필기 합격 후기

https://codingbuza.tistory.com/106

 

정보통신기사 필기 합격후기(2025년 1회차 합격) Feat.실기는 60점 합격

정보통신기사 2025년 1회차 합격 후기 – 필기편올해 2025년 1회차 정보통신기사 시험에 필기와 실기를 모두 응시했고, 다행히 초수에 합격했습니다.특히 실기는 컷라인인 60점에 딱 맞춰서 합격했

codingbuza.tistory.com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1회 정보통신기사 실기 시험 후기를 남기려고 합니다.
저는 초수로 도전했고, 컷라인 60점에서 딱 60점으로 합격했습니다. 

(2025년도 1회차 실기 기출은 가장 아래에 적어놓았습니다)


1. 공부 시작과 준비 과정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2562321

 

2025 온고지신 정보통신기사 실기[필답형] N제 - 예스24

정보통신기사 실기 필답형 최근 13개년(2012~2024) 문제와 부분 필답형 시절의 실기(2010~2011) 2개년 문제를 반영하여 올해 개정판으로 출간하였다. 13개년 이전의 과거 문제도 출제되는 것이 확인되

www.yes24.com

 

필기 합격 직후 실기를 준비했는데, 솔직히 여유 있게 준비하지는 못했습니다.

필기 때와 달리 실기는 문제 은행식이 아니라 서술형 위주라서 범위가 굉장히 넓게 느껴졌습니다.

저는 온고지신 교재 + 기출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준비했는데, 특히 기출문제 풀이가 합격에 가장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처음엔 답안 작성 연습이 잘 안 돼서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반복하면서 익숙해졌습니다.

 

특히, 문제만 보고 답을 작성할 수 있도록 키워드 중심으로 반복학습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정보통신법을 넘기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시험장에서는 법에 대한 내용을 장황하게 묻기 보다는,

xxx법인지 쓰시오, 혹은 보기를 주고 며칠 이내에 무엇을 하는지를 물어봤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법도 포기하지 마시고 꾸준히 보는 걸 추천합니다

 

ex) ~를 하는데 며칠 이내로 제출해야 하는지 쓰시오. 답 : 10일


2. 시험장에서의 경험

실기는 필기보다 훨씬 긴장됐습니다.

심지어 저는 공학용계산기도 챙기지 못해서 한문제를 통으로 날렸습니다. (RMS 구하는 문제)

  • 답을 아예 모르겠는 문제도 있었고,
  • 반대로 교재에서 본 듯한 문제가 그대로 나와서 다행이었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RMS 구하기)
  • 제가 있던 고사장은 결시율이 0%였습니다. 그만큼 취업이 어려워진다는 이야기...

저는 모르는 문제에 오래 붙잡히기보다는 아는 문제부터 쓰고, 모르는 건 최대한 근거를 적는 전략을 썼습니다.

특히, loop에 대해서 쓰라는 문제를 (지금은 loop이 뭐고, 왜 발생하는지 알고, STP 알고리즘을 쓰면 된다는 걸 알지만) 당시에는 몰라서, 최대한 아는 것들 위주로 적었는데 부분점수를 받은 것 같습니다


3. 결과와 느낀 점

결과는 정말 아슬아슬하게 60점 합격.
사실 점수만 보면 자랑스럽지는 않지만, 초수로 실기까지 한 번에 붙은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특히 느낀 점은,

  • 기출 회독이 필수라는 것,
  • 답안 작성 연습을 실제 시험처럼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 몰라도 최대한 아는만큼 적기 (부분점수를 위해)
  • 온고지신 실기 책만 믿으면 말짱 도루묵! 시중에 공개된 유튜브나 네트워크 책을 읽으면 더욱 좋을 것 같다

4. 마무리

혹시 정보통신기사 실기를 준비하시는 분들께 한마디 드리자면,
기출을 최대한 반복하라, 그리고 답안 작성 연습을 반드시 해라”입니다.
그리고 너무 온고지신 실기책만 믿으면 안됩니다.

유튜브에 공개된 문제들, 네트워크 책 등을 읽으며 지엽적인 부분까지 알아야 겨우 통과할 수 있는 정도였습니다.

정보통신기사는 다른 기사들에 비해 기출도 잘 없고, 범위도 애매하기 때문...

 

정통기를 응시하시는 분들은 저처럼 아슬아슬한 합격이 아니라, 조금 더 여유 있는 합격을 하시길 바랍니다!!

 

 

2025년 1회차 실기는

TRIB(에 대해 설명하시오)

루핑(루핑이란? / 루핑을 방지하는 방법?)

강압전선 격리거리, 홈네트워크 합격기간, 호스트 개수, 신호속도, 특등급, 

rms(계산),

회로,

psk(QSK, PSK, FSK, ASK 등 ㄱ,ㄴ,ㄷ,ㄹ 보기로 주고 채우기)

프록시서버(단답형)

mimo(서술형)

등이 나왔습니다.

 

결시율은 0%였으며, 그만큼 취업이 어려워진 것 같습니다..!

전자계산기 꼭 들고가세요!!

저는 계산기 깜빡해서 rms 그냥 날렸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실기는 놀랍게도 60점에 합격했습니다 ㅋㅋ

정보통신기사 2025년 1회차 합격 후기 – 필기편

올해 2025년 1회차 정보통신기사 시험에 필기와 실기를 모두 응시했고, 다행히 초수에 합격했습니다.
특히 실기는 컷라인인 60점에 딱 맞춰서 합격했는데요, 정말 아슬아슬했지만 첫 도전에서 붙었다는 사실이 크게 다가옵니다.

여타 기사와 달리, 정보통신기사는 기출과 자료도 많이 없고, CBT 무한반복만으로는 취득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CBT로만 해서 붙었다구요? 축하드립니다. 저보다 똑똑하신 분입니다..

저는 CBT만으로는 부족해서, 교재 + 유튜브 짤짤이 무료강의를 통해 합격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필기시험 후기를 먼저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맨 아래에 실기 기출 키워드를 적어놓았습니다.


필기 준비 과정

정보통신기사는 범위가 넓고, 특히 통신이론과 전자회로 부분이 처음엔 낯설게 느껴졌습니다. 저는 준비 기간을 크게 두 단계로 나눴습니다.

 

필기 교재는 세화에서 발간한 문제집을 사용했습니다.

분철하시는 걸 꼭 권유드립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0189533

 

2025 정보통신기사 필기 - 예스24

저자는 정보통신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을 위해 오랜 실무경험과 강의경험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사 필기책을 집필하게 되었으며, 특히 2022년부터는 NCS를 기준으로 개편된

www.yes24.com

 

실기는 온고지신을 활용했습니다. 글자가 큼직큼직해서 보기 좋습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2562321

 

2025 온고지신 정보통신기사 실기[필답형] N제 - 예스24

정보통신기사 실기 필답형 최근 13개년(2012~2024) 문제와 부분 필답형 시절의 실기(2010~2011) 2개년 문제를 반영하여 올해 개정판으로 출간하였다. 13개년 이전의 과거 문제도 출제되는 것이 확인되

www.yes24.com

 

  1. 기본서 정리
    • 처음엔 이론을 쭉 정독하면서 전체 구조를 파악했습니다.
    • 전공자가 아니라면 생소한 용어가 많아 초반에 시간이 꽤 걸리지만, 전체적인 흐름을 먼저 잡는 게 중요했습니다.
      예를들어, 진짜 정보통신이 처음이라면 PCM, OSI 7 layer 등등 그냥 이런게 있구나~하고 넘어갔습니다
  2. 기출 위주 학습
    • CBT 기출문제 풀이를 최소 5개년 정도 반복했습니다.
    • 최근 3개년은 거의 암기 수준으로 반복했는데 실제 시험에서도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 특히, 유튜브에 있는 무료 영상을 활용했습니다. 유료 강의가 최고긴 한데, 돈없는 취준생이 어떻게 자격증 하나에 큰 돈을 투자하겠습니까? 유튜브 짤짤이로 봤던 것들이, 의외로 실제 시험에 출제되곤 했습니다
      ex) 패리티 코드, 광케이블

https://www.youtube.com/watch?v=DZZipGdkRkI&list=PL-aJwnBshvYDA3pgkeAUw-qykiwvceych

 

필기 난이도와 체감

2025년 1회차 필기는 전반적으로 무난하지만 공부하지 않으면 못푸는 문제였습니다.

  • 법규는 암기 위주라 사실상 포기했는데, 다행히도 많이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 패리티 비트, 광케이블, CBT에서 나왔던 문제들이 출제되었습니다
  • 특히, 최근 2~3개년 문제를 어떻게든 찾아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ex)네이버 카페, 유튜브, 학원 홈페이지 등

필기는 시험이 끝나면 바로 점수를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잘 기억은 안나지만 평균 85를 상회했던 것 같습니다

필기 공부 팁

  • 기출이 전부는 아니다: 정보통신기사를 준비하면서 느낀 것은, 이 기사는 기출이 전부가 아닙니다. 어쩔 수 없이 지엽적인 문제들도 출제되기 때문에, 100점을 목표로 해야 겨우겨우 80 ~ 85점을 취득할 수 있는 정도였습니다.(물론 제 기준)
    그렇기 때문에, 아는 것은 확실하게 맞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CSMA/CD,CA, ARQ 등등)
  • 계산 문제 대비: 문제은행식이긴 하지만 계산 문제가 종종 변형되기 때문에 공식 암기와 기본 개념 이해는 필수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아슬아슬하게 합격했던 실기 후기를 적어보겠습니다. 실기는 진짜... 필기랑 완전 다른 싸움이더라고요.

저는 실기에서 공학용계산기를 들고가지 않았습니다.. 무슨 패기였는지 모르겠지만, 덕분에 RMS 문제를 날렸고 불합격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운좋게 60점을 취득하였습니다

 

2025년 1회차 실기는 TRIB, 루핑, 강압전선 격리거리, 홈네트워크 합격기간, 호스트 개수, 신호속도, rms, 회로, psk, 프록시서버, 특등급, mimo 등이 나왔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2회차에 59점으로 떨어졌던 제가, 3회차에서는 75점으로 당당히 합격했습니다.


처음엔 ‘실기도 기출 위주로만 하면 되겠지’라는 생각으로 접근했다가 뼈아픈 실패를 맛봤습니다. 하지만 그 경험 덕분에 공부 방법을 전면 수정했고, 결국 합격까지 이어질 수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어떻게 준비했는지, 그리고 시험장에서 느낀 점을 솔직하게 남겨보려고 합니다.


공부 방법

  • 기출 위주 학습
    2회차 때는 문제를 많이 풀기보다는 단순히 내용을 외우는 데 치중했습니다. 하지만 3회차 준비할 때는 기출을 철저히 분석했습니다. 특히 최근 5개년 기출을 반복하면서 문제 유형과 출제 의도를 파악하려고 했습니다.
  • SQL 집중 학습
    떨어지고 나니 가장 크게 느낀 게 “SQL은 무조건 따로 공부해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실제로 직접 쿼리를 작성해보면서 WHERE, GROUP BY, JOIN 같은 기본기를 확실히 다졌습니다. 2023년 3회차에는 UNION에 대한 문제가 나왔습니다.
  • C언어, JAVA, Python은 무조건 챙기기 (2, 3회차에 적어도 각 2문제 이상은 나왔습니다)
    C언어, C++이 가장 출제 빈도가 높았습니다. 특히 포인터에 대한 문제도 나오는데, 야매로 공부했다간 큰 코 다칠 수 있습니다. 확실하게 공부하고 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 교재는 수제비 (Final 모의고사는 따로 보진 않았습니다!)
    저는 실기 기본서만 N회독 한 것 같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Final 모의고사까지 사는 걸 추천드립니다.
    돈이 아깝다고 느껴질 수 있을텐데, 59점 맞고 다음 회차 실기까지 자격증 하나도 없는 상태로 취업준비했던 걸 돌이켜보면... 돈 쓰더라도 한번에 확실하게 붙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그리고, 수제비 카페에 올라오는 문제들을 평소에 활용하면 좋습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1842488

 

2025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본서 - 예스24

최고의 단기 합격 비법서, 『2025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본서』『2025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본서』는 2025년 최신 기출문제를 철저히 분석하여, 매년 변화하는 출제 트렌드에 맞춰 최

www.yes24.com

 

시험 난이도 (2, 3회차 기준)

  • 체감 난이도는 중상 정도였습니다.
  • SQL은 기출 범주 안에서 나와서 충분히 풀 수 있었습니다.
  • 기본 개념이나 보안, 접근제어에 대한 문제는 공부를 좀 해야 맞출 수 있었습니다.
  • IaaS, PaaS, SaaS 등 정확한 개념을 알고, 공개키와 비공개키 구분도 지을 줄 알아야 했습니다.

 

느낀 점

  • 실기는 기출 반복이 전부다.
    물론 이 말만 믿고 ‘단순 암기’만 하면 저처럼 59점으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기출을 보면서 ‘문제를 내는 의도’를 파악하는 겁니다.
  • 모르는 문제가 나와도 끝까지 논리적으로 접근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단순히 찍는 것과, 근거를 가지고 추론하는 것은 정답률에서 차이가 크게 났습니다.
  • 수제비 카페를 자주 들락날락하며 예상 문제를 풀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 실기는 주관식 + 코딩 + 헷갈리게 해놓은 문제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문제를 정확하게 읽고 개념을 유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특히, 신기술이나 자주 나오는 단답형은 평소에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 SQL은 따로 정리: 직접 쿼리를 작성해보세요. 책만 읽으면 절대 안 외워집니다.
  • 확실하게 알기 : 출제자들이 귀신같이 헷갈리는 부분을 캐치합니다. MAC / DAC /RBAC, IaaS/PaaS/SaaS 같은 개념들.. (실제로 나왔습니다) 이것들이 쉽다구요? 그러면 축하드립니다! 합격입니다
  • 시간 관리: 코딩에서 막혀도 노가다로 충분히 풀어지는 문제도 있습니다. 다만, 생각보다 시간이 촉박할 수 있으니, 시간관리에도 신경쓰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널널했고 1회차만에 합격했다구요? 축하드립니다. 저보다 똑똑하신 것 같습니다!

저는 이렇게 해서 2023년 3회차에 75점으로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2회차 59점으로 불합격 했을 땐 좌절도 했지만, 결국 그 경험이 제 공부법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네요.
혹시 지금 준비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제 실패와 합격 경험이 작은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필기 후기는 아래 글을 참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s://codingbuza.tistory.com/104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후기 (2023년 2회차)

정보처기사 필기 합격 후기 (2023년 2회차)안녕하세요. 2023년 2회차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응시해서 합격한 후기를 공유합니다. 저처럼 혼자서 준비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

codingbuza.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정보처기사 필기 합격 후기 (2023년 2회차)

안녕하세요. 2023년 2회차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응시해서 합격한 후기를 공유합니다. 저처럼 혼자서 준비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시험 개요

  • 시험 일자: 2025년 ○월 ○일
  • 응시료: 19,400원
  • 과목 구성:
    1. 소프트웨어 설계
    2. 소프트웨어 개발
    3.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5.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합격 기준은 과목별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입니다.


2. 공부 기간 & 방법

저는 약 4주 동안 준비했습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37156619

 

2025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 예스24

『2025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은 최신 기출문제를 모아 만든 실전 대비용 초단타 합격 전략집이다. 철저한 기출문제 분석을 통해 확실한 시험 대비가 가능하다. 2024년까지 최신

www.yes24.com

 

  • 교재: ‘정보처리기사 시나공 필기 기출문제집’
  • 공부 방식: 기출 5개년 반복 → 틀린 문제만 오답노트 정리
  • 하루 공부 시간: 3시간 (출근/퇴근 시간도 활용)

느낀 점:
이 시험은 기출 적응이 가장 중요합니다. 개념만 공부하는 건 비효율적이고, 기출 풀이를 통해 패턴을 익히는 게 핵심이에요.


3. 시험 난이도 & 체감

  • 소프트웨어 설계/개발: 예상보다 어렵지 않았음
  • 데이터베이스: SQL, 정규화 문제 위주 (기출과 유사)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C, Java 기본 문법 출제 (헷갈리는 부분만 체크)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암기 위주 → 기출 반복이 효과적

 전반적으로 기출 공부만 충실히 했다면 합격 가능한 수준이었습니다.

 

4. 합격 인증

2023 3회차 정보통신기사 실기 합격

5. 합격 꿀팁

  1. 기출 5개년 3회독 이상: 시험 절반 이상 커버 가능
  2. 데이터베이스/언어: 틀린 문제 따로 모아 반복 확인
  3. 시험 전날: 오답노트, 공식 정리만 확인 (새로운 건 보지 말기)

마치며

정보처리기사 필기는 기출 반복 학습만 잘해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습니다.

단기간 준비해도 합격 가능하니, 자신 있게 도전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에는 실기 공부법과 합격 후기도 정리해서 다시 올리겠습니다!

 

Feat. 저는 2023년 2회차 실기 59점으로 떨어져서, 2023년 3회차에 70점으로 합격했습니다 ㅋㅋ..

반응형
반응형

2025년 정기 기사 3회에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를 합격했다

 

 

공부기간 : 2주일

 

공부방법 :

1. CBT 기출 무한반복

2. 틀린 문제 모의고사 무한반복 (CBT 기능 활용)

 

필기시험 참고서 : X, 오로지 CBT만 풀었음

 

필기시험 꿀팁 :

- CBT를 풀다보면 각 과목당 100점 방지 문제가 적게는 1개에서 많게는 3~4개까지 나오는 걸 볼 수 있다.

여기서 100점 방지 문제란? -> 이전 회차에 나오지 않은 신유형이라고 생각한다.

그 신유형은 결국 그 다음회차에서는 기출로 나오게 되어있다.

 

그러니까 신유형이 나에게는 기출문제로 느껴질 정도로 익숙해지는 게 중요하다.

 

ex) 2015년 1회차 신유형은 결국 2015년 2회차부터는 기출이 되는 것..!

 

그래서, 기회가 된다면 사무자동화산업기사는 CBT에 있는 2000년도 초반부터 2025년까지 있는 모의고사를 자주 풀기를 바란다

실제로 2000년도 초중반에 나왔던 문제가 많이 나왔다

 

이기적 CBT 영진닷컴은 2025년도 문제까지 있고 CBT는 2020년도까지 있다.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방법은 CBT사이트 먼저 다 풀고 이기적인 사이트에서 2021년도부터 문제를 푸는 걸 추천한다

 

https://www.comcbt.com/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https://cbt.youngjin.com/index.php

 

이기적 CBT, 영진닷컴

 

cbt.youngjin.com

 

 

반응형
반응형

 

공부 방법

1. CBT 모의고사 N회 돌리기

2. 1번을 무한 반복한다 (아래 사진처럼)




공부 기간

직장인 기준으로, '하루에 적어도 모의고사 1회 풀기' 목표잡고 2주에 끝냈다.

네트워크 장비 유지보수 업체로 입사한 따끈따끈한 3개월 차 신입이라 그런가, 생각보다 난이도 자체는 쉬웠다.

다만, 100점 방지 문제가 매번 2~4개씩은 나오는 것 같았다(이런 걸 도대체 왜 내는지 모르겠는 문제들..)

 

*참고로 시험 결과는 시험 치고 이틀 후 오전 9시에 나온다.

*시험은 총 50문제로, 1문제당 2점이다.

*합격은 60점 이상이니깐, 20문제만 틀리면 되는 아주 수월한 자격증이다.

 

비전공자도 합격할 수 있나요?

충분히 합격할 수 있습니다. 약간의 네트워크 지식과 모의고사 무한반복이면 안될 게 없다.

 

 

왜 1급이 아니라 2급인지? 취업했는데 도전한 계기?

- 네트워크관리사는 신기하게도 2급이 국가공인 자격증이고, 1급은 민간 자격증이다. 2급은 5년마다 갱신해야 하는데, 갱신 3개월 전에 교육을 받으면 연장할 수 있다고 한다.

- 사실, 지금 맡은 업무가 엔지니어라고 하기에는 많이 부족하다. 그래서, 네트워크 현장에서의 경험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가볍게 하나 취득하고자 시험을 봤다. 

 

 

네트워크관리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이번 회차에 꼭 실기도 합격해서, 실기 합격 후기로 돌아오겠다

 

https://www.icqa.or.kr/cn/page/network

 

(사)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개요 및 검정기준 네트워크관리사란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 설정, 시스템 최적화 등 네트워크구축 및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 관련 기술력에 대한 자격이다. 자격명칭 검정기준

www.icqa.or.kr

 

반응형
반응형
 

 

내림차순은 b가 먼저, 오름차순은 a가 먼저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mparato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 = {"30", "20", "10" };

        // 내림차순
        Arrays.sort(str, new Comparator<String>(){
            public int compare(String a, String b) {
                return (b + a).compareTo(a + b);
            }
        });

        for (String x : str) {
            System.out.print(x + " ");
        }


        // 오름차순
        System.out.println();
        Arrays.sort(str, new Comparator<String>() {
            public int compare(String a, String b) {
                return (a + b).compareTo(b + a);
            }
        });

        for (String x : str) {
            System.out.print(x + " ");
        }
    }

}
반응형
반응형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Main {

    private void swap(int[] arr, int idx1, int idx2) {
        int tmp = arr[idx1];
        arr[idx1] = arr[idx2];
        arr[idx2] = tmp;
    }

    // 삽입 정렬
    private int[] sortByInsertionSort(int[] arr) {
        for (int i = 1; i < arr.length; i++) {
            int tmp = arr[i];
            int j = i - 1;
            while (j >= 0 && tmp < arr[j]) {
                arr[j+1] = arr[j];
                j--;
            }
            arr[j+1] = tmp;
        }
        return arr;
    }

    // 선택정렬
    private int[] sortBySelectionSort(int[] arr) {
        for (int i = 0; i < arr.length; i++) {
            int minIdx = i;
            for (int j = i + 1; j < arr.length; j++) {
                if (arr[j] < arr[minIdx]) {
                    minIdx = j;
                }
            }
            swap(arr, minIdx, i);
        }
        return arr;
    }

    // 버블정렬
    private int[] sortByBubbleSort(int[] arr) {
        for (int i = 0; i < arr.length; i++) {
            for (int j = 0; j < arr.length - 1; j++) {
                if(arr[j] > arr[j+1]){
                    swap(arr, j, j + 1);
                }
            }
        }

        return arr;
    }

    // 셸 정렬
    private int[] sortByShellSort(int[] arr) {
        for (int h = arr.length / 2; h > 0; h /= 2) {
            for (int i = h; i < arr.length; i++) {
                int tmp = arr[i];
                int j = i - h;
                while (j >= 0 && tmp < arr[j]) {
                    arr[j+h] = arr[j];
                    j = j - h;
                }
                arr[j + h] = tmp;
            }
        }

        return ar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ay = {5, 4, 1, 2, 3, 6, 8, 7, 9, 10};

        Main T = new Main();

        // 삽입정렬 N, N^2, N^2
        System.out.print("삽입 정렬 : ");
        for (int x : T.sortByInsertionSort(array)) {
            System.out.print(x + " ");
        }

        // 선택정렬 N^2, N^2, N^2
        System.out.print("\n" + "선택 정렬 : ");
        for (int x : T.sortBySelectionSort(array)) {
            System.out.print(x + " ");
        }

        // 버블 정렬 N^2, N^2, N^2
        System.out.print("\n" + "버블 정렬 : ");
        for (int x : T.sortByBubbleSort(array)) {
            System.out.print(x + " ");
        }


        // 버블 정렬 N^2, N^2, N^2
        System.out.print("\n" + "버블 정렬 : ");
        for (int x : T.sortByBubbleSort(array)) {
            System.out.print(x + " ");
        }

        // 셸 정렬 N, N^1.5, N^2
        System.out.print("\n" + "셸 정렬 : ");
        for (int x : T.sortByShellSort(array)) {
            System.out.print(x + " ");
        }
    }




}

레퍼런스

 

https://velog.io/@pppp0722/%EC%A0%95%EB%A0%AC-%EC%95%8C%EA%B3%A0%EB%A6%AC%EC%A6%98-7%EA%B0%9C-%EC%A0%95%EB%A6%AC-Java#%ED%80%B5-%EC%A0%95%EB%A0%ACquick-sort

 

정렬 알고리즘 7개 정리 (Java)

정렬 알고리즘이란 원소들을 일정한 순서대로 열거하는 알고리즘 이다.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 상황에 맞게 다음의 기준들로 사용할 알고리즘을 선정한다. > 시간 복잡도 (소요되는 시간)

velog.io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4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answer = 0;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boolean[][] graph;

    public static void dfs(int idx) {
        visited[idx] = true;

        for (int i = 1; i <= N; i++) {
            if (graph[idx][i] && !visited[i]) {
                dfs(i);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 = new boolean[N + 1][N + 1];
        visited = new boolean[N + 1];

        for (int i = 1; i <= M;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u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u][v] = true;
            graph[v][u] = true;

        }

        for (int j = 1; j <= N; j++) {
            if(!visited[j]) {
                dfs(j);
                answer++;
            }
        }

        System.out.print(answer);
    }
}

핵심

1. DFS를 언제 수행할지

2. graph, 재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