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통신기사 필기 합격 후기

https://codingbuza.tistory.com/106

 

정보통신기사 필기 합격후기(2025년 1회차 합격) Feat.실기는 60점 합격

정보통신기사 2025년 1회차 합격 후기 – 필기편올해 2025년 1회차 정보통신기사 시험에 필기와 실기를 모두 응시했고, 다행히 초수에 합격했습니다.특히 실기는 컷라인인 60점에 딱 맞춰서 합격했

codingbuza.tistory.com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1회 정보통신기사 실기 시험 후기를 남기려고 합니다.
저는 초수로 도전했고, 컷라인 60점에서 딱 60점으로 합격했습니다. 

(2025년도 1회차 실기 기출은 가장 아래에 적어놓았습니다)


1. 공부 시작과 준비 과정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2562321

 

2025 온고지신 정보통신기사 실기[필답형] N제 - 예스24

정보통신기사 실기 필답형 최근 13개년(2012~2024) 문제와 부분 필답형 시절의 실기(2010~2011) 2개년 문제를 반영하여 올해 개정판으로 출간하였다. 13개년 이전의 과거 문제도 출제되는 것이 확인되

www.yes24.com

 

필기 합격 직후 실기를 준비했는데, 솔직히 여유 있게 준비하지는 못했습니다.

필기 때와 달리 실기는 문제 은행식이 아니라 서술형 위주라서 범위가 굉장히 넓게 느껴졌습니다.

저는 온고지신 교재 + 기출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준비했는데, 특히 기출문제 풀이가 합격에 가장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처음엔 답안 작성 연습이 잘 안 돼서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반복하면서 익숙해졌습니다.

 

특히, 문제만 보고 답을 작성할 수 있도록 키워드 중심으로 반복학습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정보통신법을 넘기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시험장에서는 법에 대한 내용을 장황하게 묻기 보다는,

xxx법인지 쓰시오, 혹은 보기를 주고 며칠 이내에 무엇을 하는지를 물어봤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법도 포기하지 마시고 꾸준히 보는 걸 추천합니다

 

ex) ~를 하는데 며칠 이내로 제출해야 하는지 쓰시오. 답 : 10일


2. 시험장에서의 경험

실기는 필기보다 훨씬 긴장됐습니다.

심지어 저는 공학용계산기도 챙기지 못해서 한문제를 통으로 날렸습니다. (RMS 구하는 문제)

  • 답을 아예 모르겠는 문제도 있었고,
  • 반대로 교재에서 본 듯한 문제가 그대로 나와서 다행이었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RMS 구하기)
  • 제가 있던 고사장은 결시율이 0%였습니다. 그만큼 취업이 어려워진다는 이야기...

저는 모르는 문제에 오래 붙잡히기보다는 아는 문제부터 쓰고, 모르는 건 최대한 근거를 적는 전략을 썼습니다.

특히, loop에 대해서 쓰라는 문제를 (지금은 loop이 뭐고, 왜 발생하는지 알고, STP 알고리즘을 쓰면 된다는 걸 알지만) 당시에는 몰라서, 최대한 아는 것들 위주로 적었는데 부분점수를 받은 것 같습니다


3. 결과와 느낀 점

결과는 정말 아슬아슬하게 60점 합격.
사실 점수만 보면 자랑스럽지는 않지만, 초수로 실기까지 한 번에 붙은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특히 느낀 점은,

  • 기출 회독이 필수라는 것,
  • 답안 작성 연습을 실제 시험처럼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 몰라도 최대한 아는만큼 적기 (부분점수를 위해)
  • 온고지신 실기 책만 믿으면 말짱 도루묵! 시중에 공개된 유튜브나 네트워크 책을 읽으면 더욱 좋을 것 같다

4. 마무리

혹시 정보통신기사 실기를 준비하시는 분들께 한마디 드리자면,
기출을 최대한 반복하라, 그리고 답안 작성 연습을 반드시 해라”입니다.
그리고 너무 온고지신 실기책만 믿으면 안됩니다.

유튜브에 공개된 문제들, 네트워크 책 등을 읽으며 지엽적인 부분까지 알아야 겨우 통과할 수 있는 정도였습니다.

정보통신기사는 다른 기사들에 비해 기출도 잘 없고, 범위도 애매하기 때문...

 

정통기를 응시하시는 분들은 저처럼 아슬아슬한 합격이 아니라, 조금 더 여유 있는 합격을 하시길 바랍니다!!

 

 

2025년 1회차 실기는

TRIB(에 대해 설명하시오)

루핑(루핑이란? / 루핑을 방지하는 방법?)

강압전선 격리거리, 홈네트워크 합격기간, 호스트 개수, 신호속도, 특등급, 

rms(계산),

회로,

psk(QSK, PSK, FSK, ASK 등 ㄱ,ㄴ,ㄷ,ㄹ 보기로 주고 채우기)

프록시서버(단답형)

mimo(서술형)

등이 나왔습니다.

 

결시율은 0%였으며, 그만큼 취업이 어려워진 것 같습니다..!

전자계산기 꼭 들고가세요!!

저는 계산기 깜빡해서 rms 그냥 날렸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