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은 기자분들의 뉴스를 읽고, 그 내용을 발췌하고 제 생각을 추가한 글입니다.

혹시나 틀린 내용이 있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뉴스 출처 :

https://www.etnews.com/20220905000194?mc=ns_003_00006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1/08/05/XJTYYZ663VARRNSXQOYACJWZY4/

 

 


 21세기에 들어서 전기, 수소차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그 수요를 더욱 늘리기 위해 국가와 정부차원에서 지원금도 주고 있다. 전기차라고 하면 '전기로 돌아가는 차'라고 단적으로 생각해도 되는데, 그러면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가 있어야 한다. 우리는 평소에 배터리를 정말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마우스, 도어락 등등. 그러나 배터리는 무한한 전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배터리를 교체해줘야 한다. 그렇다면 전기차는 어떨까? 차는 배터리가 모두 닳지 않아도 바꿀 수 있고, 평생 쓸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만 교체할 수 있지만,  차를 아예 바꿔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럼 이렇게 전기차에서 소모된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방법이 없을까?

 

https://www.etnews.com/20220905000194?mc=ns_003_00006 

 

전기차 폐배터리 순환 생태계 만든다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한 배터리 협력체가 생긴다. 전기차 배터리 상태, 성능 수명 등 잔존 용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만들고 배터리 재사용, 재활용률을 높인다. 배터리 잔

www.etnews.com

 위의 뉴스를 읽어보면, 교체되는 전기차의 배터리의 잔존수명에 따라 재활용하는 용도가 다른 걸 알 수 있다.

배터리 잔존수명 70% 이하 에너지저장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을 사용하여 가전용, 상업용으로 사용

배터리 잔존수명 50% 이하 핵심 광물을 추출해 재사용

미국과 유럽은 배터리 재사용, 재활용 규제를 만들어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최근에 미국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를 통해 배터리 핵심 광물을 북미 지역과 미국 자유무역협정(FTA)체결 지역에서 채굴/가공해 40%이상 사용하도록 하며, 2027년에는 그 비율을 80%까지 늘렸다. 이것 때문에 현재 유럽과 우리나라는 골머리를 앓는 중이다. 현대자동차는 어쩔 수 없이 전기차 생산을 앞당기기도 했다.

 

여기서 내가 궁금한 건, 배터리 잔존수명이 10%이하가 되면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다. 사실 나는 배터리에 대해서 정말 무지하다. 지나가는 초등학생보다 더.. 그래서 안일하게만 생각해본다면, 음..  수명이 10% 남았다면 대부분의 물질의 명이 다 한 것이니까, 그 물질들을 다른 배터리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궁금하다!(이게 50%랑 뭐가 다른 얘기일까...ㅋㅋ..) 여튼, 폐배터리 조차 재활용하여 환경을 지키도록 하는 기업들의 노력이 있어서 공학이 발전하는 게 아닌가 싶다.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1/08/05/XJTYYZ663VARRNSXQOYACJWZY4/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해야 진짜 친환경”... 리싸이클링 경쟁도 치열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해야 진짜 친환경... 리싸이클링 경쟁도 치열 LG·SK·삼성 외에도 포스코·한화·두산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

biz.chosun.com

 국내에서도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OCI, 한화셀큐 등등 ESS를 개발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폐배터리 사업은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에도 기여한다. 리튬, 코발트, 니켈 등 배터리 핵심 소재를 추출해 재사용하면 그만큼 금속을 채굴할 때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그래서 RE100을 이루는 데에도 한 발짝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다.

 

RE100 :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으로, 2014년 영국 런던의 다국적 비영리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에서 발족됐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