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은 기자분들의 뉴스를 읽고, 그 내용을 발췌하고 제 생각을 추가한 글입니다.

혹시나 틀린 내용이 있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뉴스 출처 :

https://www.etnews.com/20220905000194?mc=ns_003_00006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1/08/05/XJTYYZ663VARRNSXQOYACJWZY4/

 

 


 21세기에 들어서 전기, 수소차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그 수요를 더욱 늘리기 위해 국가와 정부차원에서 지원금도 주고 있다. 전기차라고 하면 '전기로 돌아가는 차'라고 단적으로 생각해도 되는데, 그러면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가 있어야 한다. 우리는 평소에 배터리를 정말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마우스, 도어락 등등. 그러나 배터리는 무한한 전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배터리를 교체해줘야 한다. 그렇다면 전기차는 어떨까? 차는 배터리가 모두 닳지 않아도 바꿀 수 있고, 평생 쓸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만 교체할 수 있지만,  차를 아예 바꿔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럼 이렇게 전기차에서 소모된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방법이 없을까?

 

https://www.etnews.com/20220905000194?mc=ns_003_00006 

 

전기차 폐배터리 순환 생태계 만든다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한 배터리 협력체가 생긴다. 전기차 배터리 상태, 성능 수명 등 잔존 용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만들고 배터리 재사용, 재활용률을 높인다. 배터리 잔

www.etnews.com

 위의 뉴스를 읽어보면, 교체되는 전기차의 배터리의 잔존수명에 따라 재활용하는 용도가 다른 걸 알 수 있다.

배터리 잔존수명 70% 이하 에너지저장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을 사용하여 가전용, 상업용으로 사용

배터리 잔존수명 50% 이하 핵심 광물을 추출해 재사용

미국과 유럽은 배터리 재사용, 재활용 규제를 만들어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최근에 미국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를 통해 배터리 핵심 광물을 북미 지역과 미국 자유무역협정(FTA)체결 지역에서 채굴/가공해 40%이상 사용하도록 하며, 2027년에는 그 비율을 80%까지 늘렸다. 이것 때문에 현재 유럽과 우리나라는 골머리를 앓는 중이다. 현대자동차는 어쩔 수 없이 전기차 생산을 앞당기기도 했다.

 

여기서 내가 궁금한 건, 배터리 잔존수명이 10%이하가 되면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다. 사실 나는 배터리에 대해서 정말 무지하다. 지나가는 초등학생보다 더.. 그래서 안일하게만 생각해본다면, 음..  수명이 10% 남았다면 대부분의 물질의 명이 다 한 것이니까, 그 물질들을 다른 배터리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궁금하다!(이게 50%랑 뭐가 다른 얘기일까...ㅋㅋ..) 여튼, 폐배터리 조차 재활용하여 환경을 지키도록 하는 기업들의 노력이 있어서 공학이 발전하는 게 아닌가 싶다.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1/08/05/XJTYYZ663VARRNSXQOYACJWZY4/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해야 진짜 친환경”... 리싸이클링 경쟁도 치열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해야 진짜 친환경... 리싸이클링 경쟁도 치열 LG·SK·삼성 외에도 포스코·한화·두산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

biz.chosun.com

 국내에서도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OCI, 한화셀큐 등등 ESS를 개발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폐배터리 사업은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에도 기여한다. 리튬, 코발트, 니켈 등 배터리 핵심 소재를 추출해 재사용하면 그만큼 금속을 채굴할 때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그래서 RE100을 이루는 데에도 한 발짝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다.

 

RE100 :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으로, 2014년 영국 런던의 다국적 비영리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에서 발족됐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은 기자분들의 뉴스를 읽고, 그 내용을 발췌하고 제 생각을 추가한 글입니다.

혹시나 틀린 내용이 있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뉴스 출처 : http://news.tf.co.kr/read/economy/1961742.htm

https://zdnet.co.kr/view/?no=20220904104031 

https://zdnet.co.kr/view/?no=20220904174309 

 


 삼성과 TSMC의 반도체 경쟁은 점점 고도되고 있다. 현재 두 기업 모두 3나노 공정 체제에 돌입했고, 삼성은 구글 '3세대 텐서(Tensor Gen 3)'의 수주를 받아냈고, TSMC는 놀랍게도 애플, 퀄컴, 엔비디아 등 다양한 업계의 수주를 따낸 상태이다. 단지 수주를 따낸 업체의 수만 보면 TSMC가 훨씬 많지만, 그렇다고 TSMC가 삼성보다 반도체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하기는 힘들다고 본다. 왜냐하면 TSMC는 2025년에 2나노 GAA기술을 도입할 예정이지만, 삼성은 현재 2022년에 3나노 GAA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글의 1세대, 2세대 텐서는 각각 5나노, 4나노의 수주였어서 삼성과 구글의 협업은 마치 공유결합처럼 단단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jn154sQcZ8

<여기서 3나노란, MOSFET의 채널의 길이(L)를 의미한다. 채널이 짧아질수록, 전도가 빠르고, 낮은 전력 대비 높은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그렇다면 채널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반도체 시장이 활성화되는 걸까? 내 생각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무슨 의미냐면, 단순히 채널의 길이가 짧아진다는 이유 하나만 보면 정말 파격적이지만, 이를 받쳐주기 위한 다른 기술들이 필요하다. 파운드리(반도체 제조/생산) 사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설계, 화학, 에너지, 미세공정, 장비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파운드리는 흔히 팹(Fab : Fabrication의 줄임말, 반도체의 핵심인 실리콘웨이퍼를 만드는 것)이라고 불리며, 팹리스(Fabless: IC 설계, 판매만 하고 제조는 하지 않는 것) 와의 긴밀한 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 하나의 회사가 두 가지 팹과 팹리스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면 정말 좋은데, 이것을 IDM(반도체 개발부터 설계/생산까지 모두 자체적으로 하는 업체)라고 불렀다. 놀랍게도 1980년대까지는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대표적으로 S전자, SK하이닉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 높은 마케팅 능력과 높은 능력을 겸비해야 함으로 IDM업체가 파운드리나 팹리스 업체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https://zdnet.co.kr/view/?no=20220904174309

 

반도체 전문가 60% "반도체 산업 내후년에도 위기"

한국 반도체 산업 위기가 내후년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1년 전보다 7.8% 줄면서 2년 2개월 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대한상공회의소...

zdnet.co.kr

 한편, 반도체 산업이 성장하고 있지만, 호황이 오기는 어렵다고 보는 전문가들도 몇몇 있다고 한다. 뉴스를 발췌해보면, 한 전문가는 "세계적으로 반도체 수요는 줄었는데 재고가 늘어 값이 떨어졌다", "미국과 중국이 기술 패권을 다투는 가운데 중국은 기술 격차를 빠르게 좁혔다"라고 보는 것이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3분기보다 2분기에 10%더 낮출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한다. 또한 최근에 칩4(미국의 주도 하에 미국.한국.일본.대만 국가에서 서로 협력하여 기술력을 확보하는 조약)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지만 서도, 칩4에 가입한다면 결국 우리 기술력을 공유해야 하는, 희소성이 떨어진다는 생각도 나는 갖고 있다.

 

 

출처 : https://zdnet.co.kr/view/?no=20220904104031

 

삼성전자 '엑시노스' 출하량 54%↑…"세계 유일 증가"

삼성전자가 개발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 출하량이 3개월 새 50% 넘게 늘었다. 삼성전자는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존재감을 나타냈다고 자평했다...

zdnet.co.kr

 

 이렇게 부정적인 뉴스도 있는 반면에, 위와 같이 유일하게 자사 반도체의  출하량이 증가한 삼성전자의 소식도 볼 수 있었다. 뉴스의 내용을 정리해보자면

회사 1분기 출하량 2분기 출하량 증가율  
대한민국 삼성
(엑시노스)
1천490만대 2천280만대 +54%  
대만 미디어텍
(디멘시티 9000)
1억 1천70만대 1억10만대 -9.6% 시장점유율 1위
미국 퀄컴
(스냅드래곤)
6천670만대 6천400만대 -4%  
미국 애플
(애플 실리콘)
5천640만대 4천890만대 -13.3%  

AP시장을 점유하는 대기업 중에서, 유일하게 2분기의 출하량이 증가한 건 삼성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중,저가 스마트폰을 공략한 것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시장점유율은 여전히 대만이 1위라서, 아직 갈 길이 멀긴 한 것 같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멈추지 않고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