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는 Buck converter에 대한 내용을 봤는데, 오늘은 Boost converte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본 자료는 경북대학교 교수님의 자료를 바탕으로 만든 내용입니다)
Boost converter는 Buck converter와 다르게 Step-up 컨버터라고 불리며, 승압을 해주는 컨버터 입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110V의 콘센트를 쓸 때, 우리가 쓰는 220V로 변환해주기 위해 꽂는 돼지코가 승압기 역할을 해준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면 부스트 컨버터를 강하게(?)만들면 좋지 않냐고 하는데, 보통 전압이 2배가 되면 인덕터에 많은 전류가 흘러서 스위치가 점점 뜨거워지기 때문에, 보통 Conversion Ratio가 2가 되는 경우 까지만 쓴다고 합니다. 이는 아래 내용을 통해 다시 한번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Boost Converter
부스트 컨버터에 대한 내용을 하기에 앞서, 커패시터가 정상상태 일 때 커패시터의 전압이 일정하여, 흐르는 전류가 0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갑니다.
벅 컨버터와 마찬가지로, 부스트 컨버터 또한 스위치가 있기 때문에(MOSFET과 다이오드로 생각) 두 가지 케이스가 있는데, 이를 등가회로로 해석해봅니다.
위의 식대로 가도 되지만, 출력 전류를 io로 봤을 때 io = - ic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 복잡하게 출력전류를 추가하냐고 묻는다면, 그냥 회로 공부하다 보니 출력부분에 관심이 생겨서 그렇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헤헤
두 번째 케이스를 보면, Small ripple approximation에 의해 인덕터에 흐른 전류를 I로 보고,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통해 커패시터의 흐르는 전류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왼쪽은 부스트 컨버터가 ON 되었을 때, 오른쪽은 OFF되었을 때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근데 부스트의 OFF부분을 보면, 마치 벅 컨버터의 ON과 유사한 걸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한번 고민해보려고 합니다! (반도체 잘 모르는 공학도라서 죄송합니다 ㅠ)
부스트 컨버터의 인덕터 전압과 커패시터 전류를 그래프로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Conversion Ratio M(D)를 구할 수 있습니다. 승압 컨버터이기 때문에 M(D)가 위로 가는 거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면 Conversion Ratio가 승압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서도 Conversion Ratio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신기한 사실은, 출력 전류와 입력 전류의 비로 M(D)를 구할 수 있다는 겁니다.
벅 컨버터와 부스터 컨버터는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위에 나타난 것 처럼 부스트 컨버터는 Conversion Ratio를 전류로도 나타낼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생각해봅니다. 인덕터 전압 공식을 이용하여 ON, OFF일 때를 생각하여 각각 구하고, 기울기를 통해서 iL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즉, 리플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선 인덕턴스가 관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학년 때 까지만 해도 SW의 길을 선택했는데, 4학년이 되어서 HW의 길로 방향을 바꿔서 그렇습니다 하하
TMI는 여기까지 하고, Buck converter의 원리를 보도록 하죠
(본 자료는 경북대학교 교수님의 자료를 바탕으로 만든 내용입니다)
Buck Converter 와 Boost Converter는 SPDT라는 회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여기서 SPDT란 Single Pole Double Throw의 약자로, 하나의 폴과 두 개의 로드를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더 이해가 잘 될 겁니다!
Buck 컨버터는 위와 같이 스위치 하나, 인덕터 하나, 커패시터 하나, 저항 하나로 이루어진 컨버터 입니다. 여기서 컨버터란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AC -> DC)로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TMI 하나 더 하자면, 나중에 배울 인버터(직류 신호 -> 교류 신호)도 컨버터를 바탕으로한 회로입니다.
<이건 그냥 제 생각입니다..!>
벅 컨버터의 우측을 보면 LPF(Low-Pass-Filter)가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 덕분에 Small Ripple Approximation을 가정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아닐 수 있어요 ㅠ)
벅 컨버터는 Step down 역할을 하는데, 즉 강압을 하는 컨버터 입니다. 여기서 강압이란 출력 전압을 낮춰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220v전력을 쓰는 콘센트를 일본에 110v콘센트에 꽂기 위해선 벅 컨버터를 써야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 반대가 승압인데, 승압은 Boost Converter의 내용이므로, 뒤에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우측에 그래프를 보면 M(D) = D라는 걸 볼 수 있는데, 여기서 D는 듀티사이클 비(신호 한 주기에서 ON되어 있는 비율)을 나타내며, 저는 D를 0이상 1이하로 나타냅니다.
또한 M(D)는 강압비로, 벅 컨버터에서는 듀티사이클과 같습니다. 그 이유는 밑에 가면 나옵니다..!(하하)
부스트 컨버터에 대한 내용은 배우지 않았지만, 위의 그림을 빌려서 하나만 설명해보겠습니다.
위쪽에 있는 벅 컨버터의 입력 부분은 스위치가 ON되면 전류가 흐르고, OFF되면 흐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리플성분이 크고, 출력 부분에는 이와 반대로 ON/OFF상태에서 전류가 비슷하게 흐르기 때문에 리플이 작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벅 컨버터를 이해하기 위해서 Small Ripple Approximation이라는 개념을 이용합니다. 요약하자면, 출력 전압은 출력 전압의 평균과 같다!라고 보면 됩니다. (물론 실제로 같은 건 아니고, 비슷하다!라고 봐야합니다)
벅 컨버터를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눠서 보겠습니다
벅 컨버터가 ON인 경우에는 인덕터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그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부하에도 전달됩니다.
벅 컨버터가 OFF인 경우에는 인덕터에 저장되어있던 에너지가 방출되고, 그로 인해 전류가 흐릅니다.
벅 컨버터의 ON/OFF경우에 대해서, 인덕터 전압 식을 이용해서 각 경우의 인덕터 전류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덕턴스 까지 구하면 뚝딱!!
그리고 인덕터의 Voltage second balance Low를 통해서, 시작 부분에서 왜 M(D) = D 인지 증명할 수 있습니다.
인덕터 전압의 그래프를 퓨리에 시리즈로 변환하고, Voltage second balance low를 통해 DVg = V라는 방정식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출력전압/입력전압의 비가 D(듀티사이클)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빠밤~~ 즉, 출력 전압이 듀티사이클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즉 220v 콘센트를 꽂은 후에 출력 전압이 110v가 나오도록 하려면, 듀티사이클을 1/2만큼만 만들어 주면(반 주기만 ON하면) 된다는 겁니다.
21세기에 들어서 전기, 수소차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그 수요를 더욱 늘리기 위해 국가와 정부차원에서 지원금도 주고 있다. 전기차라고 하면 '전기로 돌아가는 차'라고 단적으로 생각해도 되는데, 그러면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가 있어야 한다. 우리는 평소에 배터리를 정말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마우스, 도어락 등등. 그러나 배터리는 무한한 전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배터리를 교체해줘야 한다. 그렇다면 전기차는 어떨까? 차는 배터리가 모두 닳지 않아도 바꿀 수 있고, 평생 쓸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만 교체할 수 있지만, 차를 아예 바꿔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럼 이렇게 전기차에서 소모된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방법이 없을까?
위의 뉴스를 읽어보면, 교체되는 전기차의 배터리의 잔존수명에 따라 재활용하는 용도가 다른 걸 알 수 있다.
배터리 잔존수명 70% 이하
에너지저장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을 사용하여 가전용, 상업용으로 사용
배터리 잔존수명 50% 이하
핵심 광물을 추출해 재사용
미국과 유럽은 배터리 재사용, 재활용 규제를 만들어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최근에 미국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를 통해 배터리 핵심 광물을 북미 지역과 미국 자유무역협정(FTA)체결 지역에서 채굴/가공해 40%이상 사용하도록 하며, 2027년에는 그 비율을 80%까지 늘렸다. 이것 때문에 현재 유럽과 우리나라는 골머리를 앓는 중이다. 현대자동차는 어쩔 수 없이 전기차 생산을 앞당기기도 했다.
여기서 내가 궁금한 건, 배터리 잔존수명이 10%이하가 되면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다. 사실 나는 배터리에 대해서 정말 무지하다. 지나가는 초등학생보다 더.. 그래서 안일하게만 생각해본다면, 음.. 수명이 10% 남았다면 대부분의 물질의 명이 다 한 것이니까, 그 물질들을 다른 배터리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궁금하다!(이게 50%랑 뭐가 다른 얘기일까...ㅋㅋ..) 여튼, 폐배터리 조차 재활용하여 환경을 지키도록 하는 기업들의 노력이 있어서 공학이 발전하는 게 아닌가 싶다.
국내에서도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OCI, 한화셀큐 등등 ESS를 개발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폐배터리 사업은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에도 기여한다. 리튬, 코발트, 니켈 등 배터리 핵심 소재를 추출해 재사용하면 그만큼 금속을 채굴할 때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그래서 RE100을 이루는 데에도 한 발짝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다.
RE100 :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으로, 2014년 영국 런던의 다국적 비영리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에서 발족됐다.
삼성과 TSMC의 반도체 경쟁은 점점 고도되고 있다. 현재 두 기업 모두 3나노 공정 체제에 돌입했고, 삼성은 구글 '3세대 텐서(Tensor Gen 3)'의 수주를 받아냈고, TSMC는 놀랍게도 애플, 퀄컴, 엔비디아 등 다양한 업계의 수주를 따낸 상태이다. 단지 수주를 따낸 업체의 수만 보면 TSMC가 훨씬 많지만, 그렇다고 TSMC가 삼성보다 반도체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하기는 힘들다고 본다. 왜냐하면 TSMC는 2025년에 2나노 GAA기술을 도입할 예정이지만, 삼성은 현재 2022년에 3나노 GAA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글의 1세대, 2세대 텐서는 각각 5나노, 4나노의 수주였어서 삼성과 구글의 협업은 마치 공유결합처럼 단단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3나노란, MOSFET의 채널의 길이(L)를 의미한다. 채널이 짧아질수록, 전도가 빠르고, 낮은 전력 대비 높은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그렇다면 채널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반도체 시장이 활성화되는 걸까? 내 생각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무슨 의미냐면, 단순히 채널의 길이가 짧아진다는 이유 하나만 보면 정말 파격적이지만, 이를 받쳐주기 위한 다른 기술들이 필요하다. 파운드리(반도체 제조/생산) 사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설계, 화학, 에너지, 미세공정, 장비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파운드리는 흔히 팹(Fab : Fabrication의 줄임말, 반도체의 핵심인 실리콘웨이퍼를 만드는 것)이라고 불리며, 팹리스(Fabless: IC 설계, 판매만 하고 제조는 하지 않는 것) 와의 긴밀한 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 하나의 회사가 두 가지 팹과 팹리스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면 정말 좋은데, 이것을 IDM(반도체 개발부터 설계/생산까지 모두 자체적으로 하는 업체)라고 불렀다. 놀랍게도 1980년대까지는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대표적으로 S전자, SK하이닉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 높은 마케팅 능력과 높은 능력을 겸비해야 함으로 IDM업체가 파운드리나 팹리스 업체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한편, 반도체 산업이 성장하고 있지만, 호황이 오기는 어렵다고 보는 전문가들도 몇몇 있다고 한다. 뉴스를 발췌해보면, 한 전문가는 "세계적으로 반도체 수요는 줄었는데 재고가 늘어 값이 떨어졌다", "미국과 중국이 기술 패권을 다투는 가운데 중국은 기술 격차를 빠르게 좁혔다"라고 보는 것이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3분기보다 2분기에 10%더 낮출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한다. 또한 최근에 칩4(미국의 주도 하에 미국.한국.일본.대만 국가에서 서로 협력하여 기술력을 확보하는 조약)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지만 서도, 칩4에 가입한다면 결국 우리 기술력을 공유해야 하는, 희소성이 떨어진다는 생각도 나는 갖고 있다.
뉴스 출처 : https://www.etnews.com/20220904000052?mc=ns_001_00001
삼성.LG 디스플레이 강국을 노리다 feat.고객경험
삼성과 LG는 글로벌 TV 시장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각각 31.5%, 17.% 의 점유율로 1, 2위를 달리고 있다. 선두 업체가 나란히 '스크린 고객경험'을 무기로 내세운 것이다. (전자신문 발췌) 여기서 '고객경험'이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고객경험이란 '고객이 원하는 기능과 제품. 그리고 고객의 삶을 편하게 만들어 준다고 느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삼성과 LG는 단순히 TV가 아닌, 능동적인 디스플레이 자체로 삶의 일부가 되는 시장을 노리고 있다.
삼성의 경우를 보자. 삼성전자는 독일 베를린에서 IFA 2022에서 브리핑을 가졌다.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맞게 고객경험을 포커싱했다. 포커싱의 요소는 다양한 TV서비스를 내세웠다. Work space(재택근무), Samsung Health(건강관리), Gaming Hub(게임), Live chat(실시간 채팅), 기본 업무, 교육, 취미 등 TV를 매개로 영위하는 능동적인 소비계층을 타겟으로 삼았다. TV는 더 이상 '화면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라이프 자체가 된 느낌을 받는다.
한편, 가전제품에 발전을 이루는 것이, 마치 모바일 시장의 발전과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현재 삼성은 폴더블 폰을 앞세워 성장 모멘텀을 형성하고 있다. '갤럭시Z 폴드4', '갤럭시Z 플립4'등 새로운 폴더블 폰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이어서 LG 같은 경우는, 원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로 시장에서 아주 높은 점유율을 갖고 있다. 놀랍게도, 여기서 멈추지 않고 '3초 전략'이라는 승부수를 띄웠다. '3초 전략'이란 초대형/초개인화/초경험 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압도적인 픽셀의 개수를 내세워 고화질로 생동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삼성과 LG의 노력에도 불과하고, 반도체 시장이 잠시 둔화되었다는 건 부정할 수 없는 것 같다. 아무래도 코로나부터 시작해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을 무시할 순 없다는 것이다. 또한(디스플레이와는 거리가 멀지만), 최근에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때문에 전기차/배터리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이 어떤 조치를 취할지는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그리고 무시할 수 없는 또 다른 사업체가 있는데, 바로 TCL, 하이얼 등과 같은 중국의 TV업체이다. 대륙의 실수라고 불리는 중국이지만, 시간이 점점 흐르면서 중국과 한국의 반도체 시장 차이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정말 비관적으로 본다면, 나중에는 'Made in China' 나 'Made in Korea'가 같은 급을 같게 된다면, 정말 슬플 것 같다. 그러기 전에, 내가 반도체 시장에 기여할 수 있다면..! 여튼, 중국의 진출을 염려하고 있는 삼성과 LG는 쉽게 카피하지 못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접근할 것이라고 했다. 과연 그것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다.
삼성과 LG가 이렇게 디스플레이 쪽에서 1,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그 자리를 유지하는 게 정말 대단한 것 같다. 최근 삼성과 TSMC의 3 나노 경쟁에서 TSMC가 주 고객층(애플, 퀄컴, 앤비디아 등등)과 협력한 것을 보면 조금 아쉽긴 한데, 그래도 삼성은 GAA공정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보면 또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현재 삼성은 구글의 자체 칩 '3세대 텐서'에 3나노를 공급할 예정이라고 한다. 두 회사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만큼, 소비자에겐 더 좋은 제품이 나오길 바란다!